본문 바로가기
Magazine

[티처빌매거진] 2022 개정교육과정, 교육과정 자율화와 필요성 및 방향

by 피오렌티나 2022. 2. 9.
728x90
반응형

티처빌 매거진 CLASS - KNOWHOW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바란다

교육과정 자율화 필요성과 앞으로의 방향

글 유영식 안산해솔초등학교 선생님 


우리의 국가 교육과정은 중앙 통제적이다. 이런 방식은 지역이나 환경과 상관없이 학생들에게 고른 교육을 제공할 수 있지만, 교육 주체의 상황과 특성에 맞는 특색 있는 교육과정 운영이 어려운 게 현실이다. 시대가 변한 요즘 획일적인 교육과정이 아닌 학생 개개인의 탁월성을 키워줄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가장 먼저 달라져야 할 점은 학교가 교육과정을 스스로 결정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자율권을 보장받는 것이다.

교육과정 자율화, 어디까지 와있나

최근 현장에서 교육과정 자율화에 대한 요구가 거세다. 이는 과거에도 논의됐던 이슈지만, 최근의 교육과정 자율화는 조금 더 구체적이며, 실천적인 관점에서 논의되고 있다. 교육과정 자율화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국가 교육과정의 대강화(大綱化)가 우선 전제돼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분권화가 뒷받침돼야 한다. 대강화와 분권화가 이루어졌을 때, 실제 학생들과 맞닿는 교실 교육과정은 지역·학생의 실태에 맞게 지역화·특성화·다양화의 결과물로 연결될 수 있다.

해외 사례를 살펴보면, 호주의 경우 우리의 시도교육청 역할을 하는 주 정부에서 실질적 교육과정 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캐나다의 경우 교과 교육과정에서 대강화된 기준으로 교사의 수업 운영 자율성으로 교육과정 자율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외에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다수 국가의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우리나라와 같이 국가 교육과정이 교실 교육 과정으로 깊숙이 들어오는 경우는 드물다. 다행인 것은 우리나라에서도 교육과정을 자율화할 수 있는 현장의 움직임이 적극적으로 실현되고 있다는 것이다.

첫째, 일부 시도교육청의 경우 지역 교육과정 수준에서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를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경기도교육청의 경우 학교 자율과정, 전라북도교육 청의 경우 학교 교과목, 충청북도교육청의 경우 학교 자율탐구 과정을 지역 수준 교육과정에 고시했다. 이 같은 사례는 기존의 교과와 창체로 구분됐던 편제에 교과별 시수 증감 20%를 활용해 ‘학교 자율편제’를 설정 할 수 있도록 한 근거이다. 학교는 이 자율편제라는 공간에 학생 실태에 맞는 ‘다문화·민주시민·생태·교과 융합 프로젝트 등’ 학생 중심의 특색 있는 교육을 운영할 수 있게 됐다. 이는 그동안 학교와 현장 교사의 자율적 실천에 의해 논의됐던 교육과정 자율화를 시도교육청에서 행정적으로 서포트 해준다는 의미가 있다. 위에서 언급한 지역 이외에도 많은 지역에서 이와 같은 학교 자율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는 공간을 지역 수준 교육과정에서 차차 고시할 준비를 하고 있다.

둘째, 교사 차원에서 성취기준 재구조화를 통해 교육과정 자율화를 교실에서 실천하고 있다. 일부 교사들의 경우 성취기준을 최소한의 기준으로 사용하고 성취기준을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과 배움을 줄 수 있는 교사의 철학과 아이들의 니즈를 담은 교사 교육과정을 통해 자율화를 교실에서 실천하고 있다. 물론 이와 같은 현장 변화의 움직임이 아직은 시작의 단계이고, 많은 교사가 실천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동안의 선언적 수준에서만 논의됐던 자율화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의미 있는 변화의 움직임이라 볼 수 있다.

 

교육과정 자율화, 왜 필요한가? 

교육과정 자율화가 필요한 이유는 ‘학생’이다. 국가 수준 교육과정의 핵심은 대한민국 모든 학생에게 제공되는 ‘공통의 기준’이다. 이 기준이 단어 그대로 ‘최소한의 기준’으로 학생들에게 들어오는 것이 아닌 교과서를 통해 ‘전부’로 들어오고 있는 것이 문제다. 학생들은 거주하는지 역과 실태에 따라 다양한 특성이 있다. 이러한 다양한 특성을 가진 학생들 모두에게 국가가 공통의 기준으로 맞춤형 배움과 성장을 제공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아이들의 실태, 교육적 요구에 최적화된 단위학교의 특색 있는 교육과정을 뒷받침하기 위해 교육과정 자율화가 필요하다.

둘째, 최근 논의되고 있는 미래교육 담론을 위해서이다.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개정의 속도는 최근 교육을 둘러싼 사회의 변화 속도를 따라잡을 수 없다.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수업, 이를 운영하기 위한 블렌 디드형 교육과정 설계와 운영, 이러한 방식들이 국가 교육과정에서 제시되기 이전 현장에서는 자생적으로 사회 변화에 의해 움직이고 있다.

AI·메타버스를 활용한 미래형 교육 방법들 모두 시시각각 국가나 지역 교육과정 문서에 의해 기준과 편성 운영 지침으로 담아내 현장의 교사들에게 리드해 주는 역할을 할 수 없다. 이에 교사학습공동체 혹은 학교 단위 교육과정 준비단계에서 이러한 교육과 연계된 사회 변화 움직임을 담아낸 새로운 교육과정과 수업 방식을 연구하고 발 빠르게 미래교육 체제에 준비할 수 있으려면 교육 과정 자율화가 필요하다.

교육과정 자율화, 앞으로의 방향 

새롭게 고시될 2022 개정 교육과 정은 교육과정 자율화를 뒷받침할 수 있는 구체적 기준 제시가 기대된다. 최근 열린 2022 개정 교육과정 공청회의 경우 교육과정 자율화를 뒷받침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을 확인할 수 있다.

첫째, 교과(군) 별 20% 범위에서의 시수 증감 편성·운영 기준을 창의적 체험활동까지 확대해 교과(군) 별 및 창의적 체 험활동 시수의 20% 범위 안에서 증감을 허용하는 방안이다. 둘째, 고교 학점제의 도입과 관련해 초·중학교 단계에서도 16+1을 도입한다. 구체적으로 1년을 34주를 기준으로 편성하던 교과 교육 내용을 32주를 기준으로 제시하고 2주 분량만큼의 시수를 확보해 학교 선택 활동 또는 선택 과목을 도입한다. 그리고 이처럼 교과(군)별 및 창의적 체험활동 시수의 20% 범위 안에서 시수 증감까지 허용하는 방안과 초·중학교 단계에서 16+1을 도입하는 방안에 기반해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에서 자율성을 발휘할 수 있는 시수가 확보되는 경우 학교에서는 삶과 학습에 필요한 기초 소양, 학습 진단과 개별 보정 교육, 다양한 진로 선택활동 등을 관련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과 연계해 운영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지역 여건 및 학생 선호 등에 따라 지역연계 생태수업, 지역과 시민, 환경보존, 경 제생활 이해, 디지털 기초 소양 수업, 인공지능과 생활, 역사로 보는 우리 지역 등 다양한 선택 활동 또는 선택 과목을 개설해 운영할 수 있다 (출처: ‘2022 개정 교육과정 공청회’ 자료 참조).

이는 과거의 국가 수준에서 제시됐던 선언적 자율화를 넘어 지역교육청과 학교 단위로 실천되고 있는 학교자율화를 국가 차원에서 뒷받침해줄 수 있는 실질적 자율화의 기준 제시로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새롭게 고시될 2022 개정 교육과정 체제에서는 학교나 교실 단위 교육과정 자율화의 추세가 더욱 빨라지고 구체화할 것이라 예상된다.

 

교육과정 자율화,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

교육과정 자율화, 자율이라는 단어가 누구에게는 교육과정을 창의적으로 운영하게 해줄 수 있는 날개가 될 수 있지만. 또 다른 누구에게는 ‘숙 제’가 될 수 있다. 그동안 교과서에 전적으로 의존해 수업을 운영한 교사 (교과서=교육과정)들에게는 새로운 ‘과제’를 부여한다. 교사가 자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교육과정 공간, 구체적 시수가 확보됐다는 것은 교사들에게 교육과정 설계 역량 강화를 필수적으로 요구한다. 따라서 교사들은 교육과정 문해력을 갖추고, 긴 호흡의 수업을 디자인할 수 있는 역량을 확보해야 한다. 이를 통해 교사 자신만의 교육과정인 ‘교사 교육과정’ 을 지닐 수 있게 되며, 이는 교육과정 자율화 시대에 교사들의 모습이 될 것이다.

<티처빌 매거진>은 최신 교육 이슈 및 동료 교사의 수업 노하우,

학교 현장의 다양한 소식과 더불어 테크빌교육의 브랜드 이야기를 담은 사외보 계간지입니다.

▷ 티처빌 매거진 방문

 

반응형